- 한국어의 재구조화 2
- 어학 > 한국어
- 임홍빈 [저] l 초판 2018.07.19 l 발행 2018.07.19
- 회원리뷰 0건
-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책소개
분류 | 어학 > 한국어 |
---|---|
ISBN | 9788952120083 |
초판발행일 | 2018.07.19 |
최근발행일 | 2018.07.19 |
면수/판형 | 1056(쪽) / 신국판[153*225] |
이 책은 문법에 적용되는 재구조화(Restructuring)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한국어 형태 통사 구조에는 재구조화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재구조화’를 언급하거나 듣는 일이 간혹 있지만, 재구조화를 본격적으로 다룬 저서나 논문은 아직 희귀한 상태다. 그러나 재구조화 현상은 우리 주변에 넘치고 있다. 무엇보다 그 개념이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은 재구조화에 대한 선구적인 업적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재구조화란 개념을 범주나 경계나 요소들을 ‘있지만 없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종래에는 전혀 재구조화 논의에 포함되지 않았던 현상에 대해서도 재구조화를 적용하게 되었다. 한국어의 많은 현상들이 이제 자기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이다.
목차
머리말
9. 조사구와 무조사구의 재구조화
9.1. 도입
9.2. 격조사구의 재구조화
9.2.1. 도입
9.2.2. 격조사구와 문장 성분
9.2.3. 격조사구에 대한 명사‑인상 접근의 문제
9.2.4. 작은 마무리
9.3.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1. 도입
9.3.2. 보조사와 보조사구
9.3.3. 보조사구와 성분 관련 재구조화
9.3.4. 보조사 출현 환경의 일률화
9.3.5. 부사구 성분과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6. 명사구 성분과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7.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에 대한 재구조화
9.3.7.1. 격조사가 아닌 ‘이/가’와 ‘을/를’
9.3.7.2. 보조사적인 ‘이/가’와 ‘을/를’의 분포
9.3.7.3. 두 가지 ‘이/가’와 ‘을/를’의 의미 특성
9.3.7.4. 연어 구성과 동일 성분에 대한 두 가지 분석
9.3.7.5. 아주 작은 마무리: 범주에 대한 재구조화와 문법화
9.3.8. 작은 마무리
9.4. 무조사구와 재구조화
9.4.1. 도입
9.4.2. 무조사구와 정밀 대응 원리
9.4.3. 무조사구의 재구조화
9.4.4. 재구조화에 의한 어휘화
9.4.4.1. 무조사구와 제시성의 약화
9.4.4.2. 특정성과 불특정성
9.4.4.3. 형태론적 동사와 어미
9.4.4.4. 형태론적 구성의 재구조화
9.4.5. 작은 마무리
9.5. 관계어 구성의 재구조화
9.5.1. 도입
9.5.2. 용언 관계어 구성
9.5.2.1. 용언 관계어 구성과 재구조화
9.5.2.2. ‘조사 상당어’의 검증 기준
9.5.2.3. 관계어 구성의 특성과 재구조화
9.5.2.4. 용언 관계어 구성과 부사적 재구조화
9.5.2.4.1. ‘더불어’와 재구조화
9.5.2.4.2. ‘아울러’와 재구조화
9.5.2.4.3. ‘통틀어’와 재구조화
9.5.2.4.4. ‘같이, 달리’의 논항과 부사의 파생
9.5.2.4.5. 부사의 재구조화 및 파생과 논항 지배
9.5.2.4.6. 아주 작은 마무리
9.5.2.5. 비활성적 구성과 준활성적 구성의 재구조화
9.5.2.5.1. 비활성적 연결 어미구와 재구조화
9.5.2.5.1.1. ‘~을 보고’의 비활성화와 재구조화
9.5.2.5.1.2. ‘더러’의 비활성화와 재구조화
9.5.2.5.2. 준활성적인 연결 어미구와 관형사형 어미구
9.5.2.5.3. 반활성적(半活性的) 구성에 대한 검토
9.5.3. 체언 관계어 구성과 재구조화
9.5.3.1. 도입
9.5.3.2. 동사 생략 구성에 대한 검토
9.5.3.2.1. 동사 생략 구성의 개방성과 분리성
9.5.3.2.2. 동사 생략 구성의 구조와 재구조화
9.5.3.3. 아주 작은 마무리
9.5.4. 작은 마무리
9.6. 주격 조사 관련 형식의 재구조화
9.6.1. 도입
9.6.2. 주격 조사 ‘이’ 기원설
9.6.2.1. 3인칭 대명사 속격 기원설과 그 비판
9.6.2.1.1. 3인칭 대명사 속격설
9.6.2.1.2. 3인칭 대명사 속격설 비판
9.6.2.2. 존재 용언 기원설과 그 비판
9.6.2.2.1. 주격 조사의 존재 용언 기원설
9.6.2.2.2. 주격 조사의 존재 용언 기원설 비판
9.6.2.3. 한국어의 역사와 주격 표시
9.6.2.3.1. 서기체 표기와 그 현대역의 주격 표시
9.6.2.3.2. 향가에서의 주격 표시
9.6.2.3.2.1. 주격 표시 석독자 ‘是’
9.6.2.3.2.2. 주격 표시 음독자 ‘伊’
9.6.2.3.2.3. 주격 표시 음독자 ‘史’와 선행 요소
9.6.2.3.2.4. 향가의 주격 표시 마무리
9.6.2.3.3. ‘구역인왕경’ 구결에서의 주격 표시
9.6.2.3.4. 중세어 자료와 그 현대어의 주격 표시
9.6.2.4. 주격 조사에 대한 접근성과 제시-지시 구성
9.6.2.4.1. ‘이’ 기원설과 어순 문제
9.6.2.4.2. ‘이’ 기원설과 단어 형식의 문법적 접근성
9.6.2.4.3. ‘이’ 기원설과 의미 기능적 접근성
9.6.2.4.4. 주격 조사의 기원과 제시-지시 구성
9.6.2.4.5. 아주 작은 마무리
9.6.3. 주격 조사 ‘가’의 재구조화 문제
9.6.3.1. 정철 모 안씨 서간의 이른바 주격 조사 ‘가’
9.6.3.2. ‘가세니러셔’의 ‘가’는 주격 조사인가
9.6.3.3. 주격 조사 ‘가’의 기원론
9.6.3.4. 주격 조사 ‘가’와 연결 첨사 ‘가’
9.6.3.5. 주격 조사 ‘가’의 첫 출현과 생성 가설
9.6.3.6. 아주 작은 마무리
9.6.4. ‘이/가’ 외의 주격 관련 조사의 재구조화
9.6.4.1. 존칭 주격 조사 ‘겨삿샤/겨오셔/겨셔’ 등의 재구조화
9.6.4.2. 존칭 주격 조사 ‘셔’의 역사적 재구조화
9.6.4.3. ‘께서’는 격조사인가 보조사인가
9.6.4.4. 이른바 단체 주격 조사 ‘애셔/에셔/의셔’의 재구조화
9.6.4.5. 처격 조사 ‘에’ 및 ‘에서’와 관련된 재구조화
9.6.4.5.1. ‘에’ 및 ‘에서’ 성분과 서술어
9.6.4.5.2. 시간 표현의 ‘에’
9.6.4.5.3. 출발점 표시의 ‘에서’
9.6.4.5.4. 문제의 영역과 ‘에서’ 성분
9.6.4.5.5. 이른바 단체 주격 조사 ‘에서’의 문법적 성격
9.6.4.5.5.1. ‘에서’에 대한 두 가지 접근
9.6.4.5.5.2. ‘에서’와 주어 관련 문법 현상
9.6.4.5.5.3. 주체 영역 표시 ‘에서’ 성분과 주제
9.6.4.6. 주격 관련 조사 ‘래’의 재구조화
9.6.4.7. ‘뉘라서’ 구성의 재구조화
9.6.4.8. 아주 작은 마무리
9.7. 성분 접속 구성과 재구조화
9.7.1. 도입
9.7.2. 접속 조사구의 재구조화
9.7.3. 작은 마무리
9.8. 마무리
10. 어휘 범주와 재구조화
10.1. 도입
10.2. 보조 용언 구성의 재구조화
10.2.1. 도입
10.2.2. 보조 용언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
10.2.3. 보조 용언 구성에 대한 단순문 분석의 문제
10.2.4. 상위절 서술어로서의 보조 용언
10.2.5. 보조 용언 구성에 작용하는 재구조화
10.2.5.1.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재구조화
10.2.5.2. 명사성 보조 용언 구성의 재구조화
10.2.5.3. 내포절 주어의 재구조화
10.2.6. 작은 마무리
10.3. 부정 극어와 재구조화
10.3.1. 도입
10.3.2. 부정 극어 허가 조건
10.3.3. 재구조화에 의한 부정 극어의 허용
10.3.3.1. 긴 부정과 동절 성분 조건
10.3.3.2. ‘아무’ 관련 성분의 재구조화
10.3.3.3. 부정 극어와 어순 재배치 및 동절 성분 조건
10.3.3.4. 보조 용언 구성의 부정 극어 허가
10.3.3.5. 다른 절에서의 부정 극어 허가
10.3.4. 작은 마무리
10.4. 장거리 어순 재배치와 재구조화
10.4.1. 도입
10.4.2. 장거리 어순 재배치에 대한 착시 현상
10.4.3. 장거리 어순 재배치와 재구조화
10.4.4. 작은 마무리
10.5. 의문사-의문과 재구조화
10.5.1. 도입
10.5.2. 의문사구와 의문 어미
10.5.3. 내포절 속의 의문사와 의문 어미
10.5.4. 사유 동사 및 언급 동사 구성과 동절 성분 조건
10.5.5. 작은 마무리
10.6. 지정 형용사 ‘이다’와 재구조화
10.6.1. ‘이다’의 활용과 재구조화
10.6.1.1. 도입
10.6.1.2. ‘이다’의 품사 혹은 문법 범주의 문제
10.6.1.3.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연결 어미 ‘-라’
10.6.1.4.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종결 어미
10.6.1.5.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로, 러, 어’를 가진 어미
10.6.1.6. 아주 작은 마무리
10.6.2. ‘이다’의 선행 성분과 재구조화
10.6.2.1. 관계, 성상, 행동 명사와 재구조화
10.6.2.2. 상황 공범주 주어와 재구조화
10.6.2.3. 특정 지정 형용사 구성과 재구조화 작용
10.6.2.4. 아주 작은 마무리
10.6.3. 작은 마무리
10.7. 기능 동사 혹은 연어 구성과 재구조화 문제
10.7.1. 도입
10.7.2. 주격 중출 구성에 대한 연어적 접근
10.7.3. 대격 중출 구문에 대한 연어적 접근
10.7.4. 연어 구성과 강-어휘화
10.7.5. 작은 마무리
10.8. 심리 형용사 구문의 주어와 재구조화: 주격 중출문을 대표하여
10.8.1. 도입
10.8.2. 제1성분 주어설
10.8.3. 제1성분 주어설의 결함
10.8.4. 주격 중출문의 제1성분에 대한 재구조화
10.8.5. 작은 마무리
10.9. 마무리
11. 양태 표현과 재구조화
11.1. 도입
11.2. 양상 논리와 서법
11.3. 명제와 양태의 문제
11.3.1. 문장 부사와 양태
11.3.2. 수행 부사의 문제
11.3.3. 정서 표현과 넓은 의미의 양태
11.3.4. ‘가능하-’와 양태
11.4. 양태의 성격에 대한 접근
11.4.1. 양태론의 근원적인 문제
11.4.2. 고영근(1981,1986,1998)의 서법과 양태
11.4.3. 장경희(1985,1995)의 양태 범주 설정
11.4.4. 김지은(1998)의 양태의 성격
11.4.5. 이선웅(2001)의 양태와 문법 형태
11.4.6. 박재연(2004,2006)의 양태 어미
11.4.7. 안주호(2004a-d,2005)의 양태 표현 구성
11.4.8. 임동훈(2003,2008)의 양태의 범위
11.4.9. 이기갑(2006)의 양태의 성격과 종류
11.4.10. 박병선(2009)의 ‘서법’ 체계
11.4.11. 중간 마무리
11.5. 양태의 성격과 종류
11.5.1. 양태는 문법 범주인가 의미 범주인가
11.5.2. 양태의 기본적인 성격
11.5.2. 선어말 어미와 양태
11.5.3. 어말 어미와 양태
11.5.3.1. 종결 어미와 양태
11.5.3.1.1. 종결 어미 ‘-다’와 ‘단정(斷定)’의 양태
11.5.3.1.2. ‘-네’와 양태 및 재구조화
11.5.3.1.3. ‘-지’와 양태
11.5.3.2. 연결 어미와 양태
11.5.3.3. 관형사형 어미와 양태
11.5.3.4. 명사형 어미와 양태
11.5.4. 어휘 성분과 양태
11.5.4.1. 양태성 용언 구성
11.5.4.2. 보조 용언 구성의 양태
11.5.4.3. 관용 표현 구성
11.5.4.3.1. 관용 표현 구성과 양태
11.5.4.3.2. ‘-을 수 있-/없-’ 구성과 양태
11.5.4.4. 양태 부사
11.5.4.5. 양태 명사
11.6. 마무리
12.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와 가역성
12.1. 도입
12.2.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의 성격과 종류
12.3.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에 대한 검토
12.3.1. 재구조화의 동질성 문제
12.3.2. 형태소 설정의 문제
12.3.3. 형태소 경계의 변화와 재구조화
12.3.4. ‘ㅗ>ㅜ’의 통시적 변화와 비가역성
12.3.5. ‘ㅗ→ㅜ’의 공시적 변화와 가역성
12.4. 활용 어간의 기저 설정과 재구조화: ‘ㅂ’ 불규칙 활용을 중심으로
12.4.1. 도입
12.4.2. 불규칙 활용에 대한 역사적 인식
12.4.3. ‘ㅂ’ 불규칙 활용의 규칙화 문제
12.4.4. 불규칙 활용의 개념
12.4.5. 최명옥(1998a)의 복수 기저형 가설
12.4.6. 중세어에서의 ‘-’ 단일 기저형 가설
12.4.7. 복수의 기저형과 화자 인식에 의한 재구조화
12.4.8. /p/와 /w/의 교체
12.4.9. 동화와 활용 어간의 재구조화
12.4.10. 작은 마무리
12.5. 몇 가지 어휘 형태소의 재구조화
12.6. 마무리
1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9. 조사구와 무조사구의 재구조화
9.1. 도입
9.2. 격조사구의 재구조화
9.2.1. 도입
9.2.2. 격조사구와 문장 성분
9.2.3. 격조사구에 대한 명사‑인상 접근의 문제
9.2.4. 작은 마무리
9.3.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1. 도입
9.3.2. 보조사와 보조사구
9.3.3. 보조사구와 성분 관련 재구조화
9.3.4. 보조사 출현 환경의 일률화
9.3.5. 부사구 성분과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6. 명사구 성분과 보조사구의 재구조화
9.3.7.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에 대한 재구조화
9.3.7.1. 격조사가 아닌 ‘이/가’와 ‘을/를’
9.3.7.2. 보조사적인 ‘이/가’와 ‘을/를’의 분포
9.3.7.3. 두 가지 ‘이/가’와 ‘을/를’의 의미 특성
9.3.7.4. 연어 구성과 동일 성분에 대한 두 가지 분석
9.3.7.5. 아주 작은 마무리: 범주에 대한 재구조화와 문법화
9.3.8. 작은 마무리
9.4. 무조사구와 재구조화
9.4.1. 도입
9.4.2. 무조사구와 정밀 대응 원리
9.4.3. 무조사구의 재구조화
9.4.4. 재구조화에 의한 어휘화
9.4.4.1. 무조사구와 제시성의 약화
9.4.4.2. 특정성과 불특정성
9.4.4.3. 형태론적 동사와 어미
9.4.4.4. 형태론적 구성의 재구조화
9.4.5. 작은 마무리
9.5. 관계어 구성의 재구조화
9.5.1. 도입
9.5.2. 용언 관계어 구성
9.5.2.1. 용언 관계어 구성과 재구조화
9.5.2.2. ‘조사 상당어’의 검증 기준
9.5.2.3. 관계어 구성의 특성과 재구조화
9.5.2.4. 용언 관계어 구성과 부사적 재구조화
9.5.2.4.1. ‘더불어’와 재구조화
9.5.2.4.2. ‘아울러’와 재구조화
9.5.2.4.3. ‘통틀어’와 재구조화
9.5.2.4.4. ‘같이, 달리’의 논항과 부사의 파생
9.5.2.4.5. 부사의 재구조화 및 파생과 논항 지배
9.5.2.4.6. 아주 작은 마무리
9.5.2.5. 비활성적 구성과 준활성적 구성의 재구조화
9.5.2.5.1. 비활성적 연결 어미구와 재구조화
9.5.2.5.1.1. ‘~을 보고’의 비활성화와 재구조화
9.5.2.5.1.2. ‘더러’의 비활성화와 재구조화
9.5.2.5.2. 준활성적인 연결 어미구와 관형사형 어미구
9.5.2.5.3. 반활성적(半活性的) 구성에 대한 검토
9.5.3. 체언 관계어 구성과 재구조화
9.5.3.1. 도입
9.5.3.2. 동사 생략 구성에 대한 검토
9.5.3.2.1. 동사 생략 구성의 개방성과 분리성
9.5.3.2.2. 동사 생략 구성의 구조와 재구조화
9.5.3.3. 아주 작은 마무리
9.5.4. 작은 마무리
9.6. 주격 조사 관련 형식의 재구조화
9.6.1. 도입
9.6.2. 주격 조사 ‘이’ 기원설
9.6.2.1. 3인칭 대명사 속격 기원설과 그 비판
9.6.2.1.1. 3인칭 대명사 속격설
9.6.2.1.2. 3인칭 대명사 속격설 비판
9.6.2.2. 존재 용언 기원설과 그 비판
9.6.2.2.1. 주격 조사의 존재 용언 기원설
9.6.2.2.2. 주격 조사의 존재 용언 기원설 비판
9.6.2.3. 한국어의 역사와 주격 표시
9.6.2.3.1. 서기체 표기와 그 현대역의 주격 표시
9.6.2.3.2. 향가에서의 주격 표시
9.6.2.3.2.1. 주격 표시 석독자 ‘是’
9.6.2.3.2.2. 주격 표시 음독자 ‘伊’
9.6.2.3.2.3. 주격 표시 음독자 ‘史’와 선행 요소
9.6.2.3.2.4. 향가의 주격 표시 마무리
9.6.2.3.3. ‘구역인왕경’ 구결에서의 주격 표시
9.6.2.3.4. 중세어 자료와 그 현대어의 주격 표시
9.6.2.4. 주격 조사에 대한 접근성과 제시-지시 구성
9.6.2.4.1. ‘이’ 기원설과 어순 문제
9.6.2.4.2. ‘이’ 기원설과 단어 형식의 문법적 접근성
9.6.2.4.3. ‘이’ 기원설과 의미 기능적 접근성
9.6.2.4.4. 주격 조사의 기원과 제시-지시 구성
9.6.2.4.5. 아주 작은 마무리
9.6.3. 주격 조사 ‘가’의 재구조화 문제
9.6.3.1. 정철 모 안씨 서간의 이른바 주격 조사 ‘가’
9.6.3.2. ‘가세니러셔’의 ‘가’는 주격 조사인가
9.6.3.3. 주격 조사 ‘가’의 기원론
9.6.3.4. 주격 조사 ‘가’와 연결 첨사 ‘가’
9.6.3.5. 주격 조사 ‘가’의 첫 출현과 생성 가설
9.6.3.6. 아주 작은 마무리
9.6.4. ‘이/가’ 외의 주격 관련 조사의 재구조화
9.6.4.1. 존칭 주격 조사 ‘겨삿샤/겨오셔/겨셔’ 등의 재구조화
9.6.4.2. 존칭 주격 조사 ‘셔’의 역사적 재구조화
9.6.4.3. ‘께서’는 격조사인가 보조사인가
9.6.4.4. 이른바 단체 주격 조사 ‘애셔/에셔/의셔’의 재구조화
9.6.4.5. 처격 조사 ‘에’ 및 ‘에서’와 관련된 재구조화
9.6.4.5.1. ‘에’ 및 ‘에서’ 성분과 서술어
9.6.4.5.2. 시간 표현의 ‘에’
9.6.4.5.3. 출발점 표시의 ‘에서’
9.6.4.5.4. 문제의 영역과 ‘에서’ 성분
9.6.4.5.5. 이른바 단체 주격 조사 ‘에서’의 문법적 성격
9.6.4.5.5.1. ‘에서’에 대한 두 가지 접근
9.6.4.5.5.2. ‘에서’와 주어 관련 문법 현상
9.6.4.5.5.3. 주체 영역 표시 ‘에서’ 성분과 주제
9.6.4.6. 주격 관련 조사 ‘래’의 재구조화
9.6.4.7. ‘뉘라서’ 구성의 재구조화
9.6.4.8. 아주 작은 마무리
9.7. 성분 접속 구성과 재구조화
9.7.1. 도입
9.7.2. 접속 조사구의 재구조화
9.7.3. 작은 마무리
9.8. 마무리
10. 어휘 범주와 재구조화
10.1. 도입
10.2. 보조 용언 구성의 재구조화
10.2.1. 도입
10.2.2. 보조 용언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
10.2.3. 보조 용언 구성에 대한 단순문 분석의 문제
10.2.4. 상위절 서술어로서의 보조 용언
10.2.5. 보조 용언 구성에 작용하는 재구조화
10.2.5.1.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재구조화
10.2.5.2. 명사성 보조 용언 구성의 재구조화
10.2.5.3. 내포절 주어의 재구조화
10.2.6. 작은 마무리
10.3. 부정 극어와 재구조화
10.3.1. 도입
10.3.2. 부정 극어 허가 조건
10.3.3. 재구조화에 의한 부정 극어의 허용
10.3.3.1. 긴 부정과 동절 성분 조건
10.3.3.2. ‘아무’ 관련 성분의 재구조화
10.3.3.3. 부정 극어와 어순 재배치 및 동절 성분 조건
10.3.3.4. 보조 용언 구성의 부정 극어 허가
10.3.3.5. 다른 절에서의 부정 극어 허가
10.3.4. 작은 마무리
10.4. 장거리 어순 재배치와 재구조화
10.4.1. 도입
10.4.2. 장거리 어순 재배치에 대한 착시 현상
10.4.3. 장거리 어순 재배치와 재구조화
10.4.4. 작은 마무리
10.5. 의문사-의문과 재구조화
10.5.1. 도입
10.5.2. 의문사구와 의문 어미
10.5.3. 내포절 속의 의문사와 의문 어미
10.5.4. 사유 동사 및 언급 동사 구성과 동절 성분 조건
10.5.5. 작은 마무리
10.6. 지정 형용사 ‘이다’와 재구조화
10.6.1. ‘이다’의 활용과 재구조화
10.6.1.1. 도입
10.6.1.2. ‘이다’의 품사 혹은 문법 범주의 문제
10.6.1.3.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연결 어미 ‘-라’
10.6.1.4.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종결 어미
10.6.1.5. ‘이다’ 어간의 이형태와 ‘로, 러, 어’를 가진 어미
10.6.1.6. 아주 작은 마무리
10.6.2. ‘이다’의 선행 성분과 재구조화
10.6.2.1. 관계, 성상, 행동 명사와 재구조화
10.6.2.2. 상황 공범주 주어와 재구조화
10.6.2.3. 특정 지정 형용사 구성과 재구조화 작용
10.6.2.4. 아주 작은 마무리
10.6.3. 작은 마무리
10.7. 기능 동사 혹은 연어 구성과 재구조화 문제
10.7.1. 도입
10.7.2. 주격 중출 구성에 대한 연어적 접근
10.7.3. 대격 중출 구문에 대한 연어적 접근
10.7.4. 연어 구성과 강-어휘화
10.7.5. 작은 마무리
10.8. 심리 형용사 구문의 주어와 재구조화: 주격 중출문을 대표하여
10.8.1. 도입
10.8.2. 제1성분 주어설
10.8.3. 제1성분 주어설의 결함
10.8.4. 주격 중출문의 제1성분에 대한 재구조화
10.8.5. 작은 마무리
10.9. 마무리
11. 양태 표현과 재구조화
11.1. 도입
11.2. 양상 논리와 서법
11.3. 명제와 양태의 문제
11.3.1. 문장 부사와 양태
11.3.2. 수행 부사의 문제
11.3.3. 정서 표현과 넓은 의미의 양태
11.3.4. ‘가능하-’와 양태
11.4. 양태의 성격에 대한 접근
11.4.1. 양태론의 근원적인 문제
11.4.2. 고영근(1981,1986,1998)의 서법과 양태
11.4.3. 장경희(1985,1995)의 양태 범주 설정
11.4.4. 김지은(1998)의 양태의 성격
11.4.5. 이선웅(2001)의 양태와 문법 형태
11.4.6. 박재연(2004,2006)의 양태 어미
11.4.7. 안주호(2004a-d,2005)의 양태 표현 구성
11.4.8. 임동훈(2003,2008)의 양태의 범위
11.4.9. 이기갑(2006)의 양태의 성격과 종류
11.4.10. 박병선(2009)의 ‘서법’ 체계
11.4.11. 중간 마무리
11.5. 양태의 성격과 종류
11.5.1. 양태는 문법 범주인가 의미 범주인가
11.5.2. 양태의 기본적인 성격
11.5.2. 선어말 어미와 양태
11.5.3. 어말 어미와 양태
11.5.3.1. 종결 어미와 양태
11.5.3.1.1. 종결 어미 ‘-다’와 ‘단정(斷定)’의 양태
11.5.3.1.2. ‘-네’와 양태 및 재구조화
11.5.3.1.3. ‘-지’와 양태
11.5.3.2. 연결 어미와 양태
11.5.3.3. 관형사형 어미와 양태
11.5.3.4. 명사형 어미와 양태
11.5.4. 어휘 성분과 양태
11.5.4.1. 양태성 용언 구성
11.5.4.2. 보조 용언 구성의 양태
11.5.4.3. 관용 표현 구성
11.5.4.3.1. 관용 표현 구성과 양태
11.5.4.3.2. ‘-을 수 있-/없-’ 구성과 양태
11.5.4.4. 양태 부사
11.5.4.5. 양태 명사
11.6. 마무리
12.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와 가역성
12.1. 도입
12.2.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의 성격과 종류
12.3. 형태음소적 재구조화에 대한 검토
12.3.1. 재구조화의 동질성 문제
12.3.2. 형태소 설정의 문제
12.3.3. 형태소 경계의 변화와 재구조화
12.3.4. ‘ㅗ>ㅜ’의 통시적 변화와 비가역성
12.3.5. ‘ㅗ→ㅜ’의 공시적 변화와 가역성
12.4. 활용 어간의 기저 설정과 재구조화: ‘ㅂ’ 불규칙 활용을 중심으로
12.4.1. 도입
12.4.2. 불규칙 활용에 대한 역사적 인식
12.4.3. ‘ㅂ’ 불규칙 활용의 규칙화 문제
12.4.4. 불규칙 활용의 개념
12.4.5. 최명옥(1998a)의 복수 기저형 가설
12.4.6. 중세어에서의 ‘-’ 단일 기저형 가설
12.4.7. 복수의 기저형과 화자 인식에 의한 재구조화
12.4.8. /p/와 /w/의 교체
12.4.9. 동화와 활용 어간의 재구조화
12.4.10. 작은 마무리
12.5. 몇 가지 어휘 형태소의 재구조화
12.6. 마무리
1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기타안내
배송안내 |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
반품/교환 |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
상품 품절 |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