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도서주문 서점전용
  • 개정판 송시선
  • 문학 > 중국문학
  • 류종목, 송용준 [저] l 초판 2009.09.05 l 발행 2009.09.05
  • 회원리뷰 0
  • 판매가
    25,000
  • 적립금
    1,250원 (5% 적립)
  • 배송비
    0원 (20,000원 이상 배송비 무료)-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 주문수량
바로 구매 관심도서 담기

책소개

상품상세정보
분류 문학 > 중국문학
ISBN 9788952110442
초판발행일 2009.09.05
최근발행일 2009.09.05
면수/판형 708(쪽) / 신국판[153*225]


《송시선》을 세상에 내놓은 지 어느덧 근 10년이 지났다. 그동안 우리는 대학 강의실에서 이 책에 수록된 작품에 대하여 강론하기도 하고 다른 연구를 위하여 이 책을 참고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에 대하여 보다 나은 역해를 모색할 수 있었다. 이제 그 동안 모색해온 새로운 역해를 반영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함은 물론 새로 발견된 몇 가지 오류를 수정하여 초판보다 다소 발전된 면모의 새로운 《송시선》을 선보이게 되었다.
아울러 책의 체제도 다소 개선했다. 원문과 번역문을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대조의 편의를 도모하고, 각 시인의 시를 창작시기 순으로 정돈함으로써 작품 이해의 효율성을 제고했다. 또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각 시인의 略傳을 따로 뽑아 한데 모아놓음으로써 필요시 참고하기에 편리하게 했다.
<개정판을 내면서> 중에서

일러두기
1. 이 책은 극소수의 작품을 통하여 송시의 맛을 선보이는 데 목적이 있는 만큼 어느 하나의 판본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가지 판본 중에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했다.
2. 송시의 발전과정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고 각 시기별 또는 각 시파별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시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을 선정했다.
3. 시인은 출생시기 순으로 배열하고 한 시인의 작품은 창작시기 순으로 배열함을 원칙으로 했지만 창작시기가 분명치 않은 것은 맨 뒤에 수록했다.
4. 書名은 《 》로 표시하고 篇名이나 작품명은 〈 〉로 표시했다.

저자소개

류종목

류종목

저자약력
  • 서울대 중어중문학과 명예교수
  • 서울대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 소식사연구(중문출판사 1993)
  • 여산 진면목(솔출판사 1996)
  • 당송사사(종저, 신아사 1995)
  • 북송 초기에 있어서의 사의 호방화 경향(순재 김시준교수 송수논문집, 현암사 1995)
  • 영장사의 발생과 발전(중국문학, 제26집 1996)
저자작품
송용준

송용준

저자약력
  • 1952년 출생
  • 서울대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 서울대 대학원 중어중문학과(문학박사)
  • 영남대 문과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역임
  • 서울대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교수
  • 중국어문학통론(공편, 삼진사 1985)
  • 淮海詞譯注(영남대출판부 1988)
  • 奏觀詞硏究(영남대출판부 1989)
  • 현대중국어문법의 제문제(중문출판사 1991)
  • 唐宋詞史(공역, 신아사 1995)
  • 중국어어법발전사(공역, 사람과책 1997)
저자작품

목차

序 文 ⎮v
개정판을 내면서 ⎮ix
일러두기 ⎮xviii

王禹 ⎮對雪(눈을 대하고) 2 ⎮ 感流亡(유랑민들을 생각하며) 8 ⎮ 新秋卽事(其二)(초가을을 맞아 즉흥적으로 읊다) 14 ⎮ 村行(시골길) 16 ⎮ 日長簡仲咸(긴긴 날 중함에게 보내는 편지) 18
寇準 ⎮春日登樓懷歸(봄날 누대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며) 20 ⎮ 書河上亭壁(其四)(황하 가 정자 담벽에 쓰다) 22 ⎮ 遠恨(멀리 떨어져 있는 슬픔) 24
林逋 ⎮竹林(대나무 숲) 26 ⎮ 山園小梅(동산의 작은 매화) 28 ⎮ 山村冬暮(산촌의 겨울 저녁) 30
楊億 ⎮南朝(남조) 32 ⎮ 漢武(한 무제) 34 ⎮ 代意(마음을 대신하여) 38
范仲淹 ⎮江上漁者(강 위의 어부) 40 ⎮ 野色(들판의 희뿌연 기운) 42
柳永 ⎮煮海歌(바닷물을 달이는 노래) 44
晏殊 ⎮寓意(마음을 기탁하며) 48 ⎮ 假中示張寺丞王校勘(휴가중에 張先 寺丞과 王琪 校勘에게) 50
宋祁 ⎮落花二首(其一)(낙화) 52
梅堯臣 ⎮陶者(기와 굽는 이) 54 ⎮ 范饒州坐中客語食河豚魚(饒州知州 范仲淹의 연회석상에서 한 객이 복어 먹은 이야기를 하여) 56 ⎮ 汝墳貧女(汝河 가의 가난한 집 딸) 60 ⎮ 魯山山行(노산의 산길) 64 ⎮ 悼亡(其一)(죽은 아내를 애도하며) 66 ⎮ 同謝師厚宿胥氏書齋聞鼠甚患之(謝景初와 함께 胥偃의 서재에서 묵다가 쥐 소리를 듣고 몹시 걱정이 되어) 68 ⎮ 夜聽隣家唱(밤에 이웃집의 노랫소리를 듣고서) 70 ⎮ 牽船人(배 끄는 사람) 72 ⎮ 八月九日晨興如厠有鴉啄蛆(8월 9일 새벽에 일어나 변소에 갔더니 까마귀가 구더기를 쪼아 먹고 있었다) 74 ⎮ 秋日家居(가을날 집안에서) 76
歐陽修 ⎮戱答元珍(정보신에게 장난삼아 답하여) 78 ⎮ 晩泊岳陽(밤에 악양에 정박하여) 80 ⎮ 水谷夜行寄子美聖兪(水谷에서 밤길을 가다 소순흠과 매요신에게) 82 ⎮ 啼鳥(지저귀는 새) 88 ⎮ 豊樂亭游春三首(풍락정의 봄나들이) 94 ⎮ 邊戶(변경의 주민) 98 ⎮ 明妃曲和王介甫(왕안석의 〈明妃曲〉에 화답하여) 100 ⎮ 日本刀歌(일본도 노래) 104 ⎮ 食糟民(지게미를 먹는 백성) 108 ⎮ 學書(其二)(서예를 익히다가) 112
蘇舜欽 ⎮慶州敗(경주에서의 패전) 114 ⎮ 吳越大旱(오․월 땅의 큰 가뭄) 120 ⎮ 依韻和勝之暑飮(王益柔의 〈더운 날의 음주〉詩 韻에 따라 화답하여) 126 ⎮ 蜀士(촉 땅의 선비) 132 ⎮ 淮中晩泊犢頭(淮河 여행중 날이 저물어 독두에 배를 대고) 138 ⎮ 中秋松江新橋對月和柳令之作(중추절 송강의 신교에서 달을 대하고 柳縣令의 작품에 화답하다) 140 ⎮ 夏中(한여름) 142 ⎮ 覽照(거울을 들여다보며) 144
李 ⎮苦雨初霽(장마가 갓 갠 뒤) 146 ⎮ 憶錢塘江(전당강 추억) 148
邵雍 ⎮高竹八首(其二)(높이 자란 대나무) 150 ⎮ 首尾吟(其七十八)(수미음) 152 ⎮ 安樂吟(安貧樂道의 노래) 154
文同 ⎮望雲樓(망운루) 158 ⎮ 新晴山月(비 갠 뒤의 저녁달) 160
曾鞏 ⎮西樓(서쪽 누각) 162 ⎮ 城南(성 남쪽) 164
司馬光 ⎮獨步至洛濱二首(其二)(혼자 걸어서 낙수까지 가노라니) 166 ⎮ 道傍田家(길가의 농가) 168
王安石 ⎮河北民(하북의 백성들) 170 ⎮ 强起(억지로 일어나서) 172 ⎮ 葛溪驛(갈계역) 174 ⎮ 明妃曲二首(其一)(王昭君 노래) 176 ⎮ 示長安君(장안군에게) 180 ⎮ 夜直(밤 근무를 하다가) 182 ⎮ 泊船瓜洲(과주에 배를 대고) 184 ⎮ 酬沖卿月晦夜有感(吳充의 〈그믐날 밤 느낀 바가 있어서〉시에 화답하여) 186 ⎮ 書湖陰先生壁二首(其一)(호음선생 댁 벽에 쓰다) 190 ⎮ 桃源行(桃花源 노래) 192
鄭 ⎮春盡(봄은 다 가는데) 196 ⎮ 滯客(발이 묶인 나그네) 198
劉 ⎮雨後池上(비 온 뒤의 연못) 200 ⎮ 新晴(비가 그치니) 202
王令 ⎮假山(인조 돌산) 204 ⎮ 暑旱苦熱(여름 가뭄의 고통스런 더위) 206 ⎮ 感憤(울분을 느끼며) 208 ⎮ 讀老杜詩集(杜甫詩集을 읽고서) 210 ⎮ 餓者行(굶주린 자의 노래) 212
張舜民 ⎮打麥(보리 타작) 214
蘇軾 ⎮江上看山(강 위에서 산을 보니) 218 ⎮ 和子由澠池懷舊(자유의 〈면지회구〉에 화답하여) 220 ⎮ 雨中遊天竺靈感觀音院(천축사의 영감관음원) 222 ⎮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一)(망호루에서 술 마시며) 224 ⎮ 吳中田婦歎(오중 지방 어느 농촌 아낙의 탄식) 226 ⎮ 法惠寺橫翠閣(법혜사 횡취각) 230 ⎮ 飮湖上初晴後雨二首(其二)(비 내리는 서호) 234 ⎮ 於潛僧綠筠軒(어잠 스님의 녹균헌) 236 ⎮ 有美堂暴雨(유미당의 폭우) 238 ⎮ 八月十五日看潮五絶(其二, 其三)(팔월 보름날의 파도타기 구경) 240 ⎮ 百步洪二首(其一)(백보홍) 242 ⎮ 東坡八首(其一, 其二)(동파) 246 ⎮ 紅梅三首(其一)(홍매) 250 ⎮ 洗兒戱作(세아회 날 장난삼아) 252 ⎮ 題西林壁(여산진면목) 254 ⎮ 惠崇春江晩景二首(其一)(혜숭의 〈춘강만경〉을 보고) 256 ⎮ 書鄢陵王主簿所畵折枝二首(其一)(언릉 왕주부의 절지화를 보고) 258 ⎮ 荔支歎(여지의 탄식) 260 ⎮ 食荔支二首(其二)(여지를 먹는 재미) 264
蘇轍 ⎮逍遙堂會宿二首(其一)(소요당에서 함께 자며) 266 ⎮ 中秋夜八絶(其一)(한가위의 보름달) 268
黃庭堅 ⎮勞坑入前城(노갱을 통해 전성으로 들어가니) 270 ⎮ 登快閣(쾌각에 올라) 272 ⎮ 寄黃幾復(황기복에게) 274 ⎮ 戱呈孔毅父(공의보에게 장난으로) 276 ⎮ 題竹石牧牛(죽석목우도) 278 ⎮ 病起荊江亭卽事十首(其一, 其八)(병석에서 일어나 형강정에 올라) 280 ⎮ 蟻蝶圖(개미와 나비) 284 ⎮ 雨中登岳陽樓望君山二首(비 내리는 동정산) 286 ⎮ 跋子瞻和陶詩(소식의 화도시를 읽고) 288 ⎮ 鄂州南樓書事四首(其一)(악주 남루에 올라 보니) 290
秦觀 ⎮泗州東城晩望(저물녘 사주의 동성에서 바라보며) 292 ⎮ 田居四首(其一)(전원에 거처하며) 294 ⎮ 秋日三首(其一)(가을날) 298 ⎮ 次韻太守向公登樓眺望二首(其一)(태수 상공의 〈登樓眺望〉시에 차운하여) 300 ⎮ 春日五首(其二)(봄날) 302
賀鑄 ⎮淸燕堂(청연당에서) 308 ⎮ 宿芥塘佛祠(개당사에서 묵노라니) 306
陳師道 ⎮別三子(아들딸과 이별하고) 308 ⎮ 九日寄秦覯(중양절날 진구에게) 312 ⎮ 示三子(아들딸에게) 314 ⎮ 雪後黃樓寄負山居士(눈이 갠 뒤 황루에서 부산거사에게 부친다) 316 ⎮ 田家(농가) 318 ⎮ 泛淮(회수에 배 띄우고) 320 ⎮ 後湖晩坐(저녁에 후호에서) 322 ⎮ 登快哉亭(쾌재정에 올라) 324 ⎮ 絶句四首(其四)(세상사) 326 ⎮ 春懷示隣里(춘심) 328
張 ⎮感春十三首(其一)(춘흥) 330 ⎮ 勞歌(노동자의 노래) 332 ⎮ 海州道中二首(其二)(해주로 가는 길에) 334 ⎮ 秋日登海州乘槎亭(가을에 해주의 승사정에 올라) 336 ⎮ 初見嵩山(숭산을 처음 보고) 338 ⎮ 夜坐(밤에 앉아 있노라니) 340
孔平仲 ⎮禾熟三首(其一)(벼 익는 시절) 342 ⎮ 霽夜(맑게 갠 밤) 344
韓駒 ⎮夜泊寧陵(영릉에서 밤을 나며) 346 ⎮ 和李上舍冬日書事(이상사의 〈겨울날〉에 화답하여) 348
唐庚 ⎮春日郊外(봄날 교외에서) 350 ⎮ 張求(장구) 352
王藻 ⎮卽事二首(즉흥시) 356 ⎮ 己酉亂後寄常州使君姪(기유년의 난리 후 상주태수 조카에게) 358 ⎮ 春日(봄날) 360
王庭珪 ⎮送胡邦衡之新州貶所二首(其一)(신주로 좌천되어 가는 胡銓을 전송하며) 362 ⎮ 二月二日出郊(2월 2일 교외로 나와서) 364
李淸照 ⎮烏江(오강) 366 ⎮ 春殘(늦봄) 368
呂本中 ⎮兵亂後雜詩五首(其一, 其四, 其五)(전란을 겪고 나서) 370 ⎮ 春日卽事二首(其二)(봄날) 374 ⎮ 柳州開元寺夏雨(유주 개원사의 여름비) 376 ⎮ 連州陽山歸路(연주 양산에서 되돌아가는 길에) 378 ⎮ 夢(꿈) 380
曾幾 ⎮三衢道中(구주의 길목에서) 382 ⎮ 蘇秀道中自七月二十五日夜大雨三日, 秋苗以蘇, 喜而有作(소주에서 수주로 가던 도중 7월 25일 밤부터 사흘 동안 큰비가 내려 가을 곡식이 소생하였으므로 기뻐서 짓는다) 384 ⎮ 壬戌歲除作明朝六十歲矣(임술년 섣달 그믐날에, 내일 아침이면 60세로다) 386
陳與義 ⎮襄邑道中(양읍 가는 길에) 388 ⎮ 中牟道中二首(중모 가는 길에) 390 ⎮ 淸明(청명) 392 ⎮ 登岳陽樓二首(其一)(악양루에 올라) 394 ⎮ 雨中對酒庭下海棠經雨不謝(비 오는 가운데 술 마주했는데, 뜰 아래 해당화가 비를 맞고도 지지 않아서) 396 ⎮ 春寒(봄추위) 398 ⎮ 傷春(봄날에 가슴아파서) 400 ⎮ 牡丹(모란) 402 ⎮ 雨晴(비가 개어) 404
劉子 ⎮汴京紀事二十首(其一)(변경에서) 406 ⎮ 江上(강촌 풍경) 408 ⎮ 策杖(지팡이 짚고 나섰더니) 410
陸游 ⎮夜讀兵書(밤에 병서를 읽다가) 412 ⎮ 遊山西村(산서촌을 유람하고) 414 ⎮ 聞雨(빗소리를 들으며) 416 ⎮ 黃州(황주) 418 ⎮ 劍門道中遇微雨(검문관을 지나는 길에 가랑비를 맞으며) 420 ⎮ 金錯刀行(금착도행) 422 ⎮ 長歌行(장가행) 424 ⎮ 春殘(봄이 저무네) 428 ⎮ 關山月(관산월) 430 ⎮ 初發夷陵(이릉을 막 떠나며) 432 ⎮ 六月十四日宿東林寺(유월 열나흗날 동림사에서 자며) 434 ⎮ 五月十一日夜且半, 夢從大駕親征, 盡復漢唐故地, 見城邑人物繁麗, 云西涼府也. 喜甚, 馬上作長句, 未終篇而覺, 乃足成之(5월 11일 한밤중이 다 돼 갈 무렵 꿈에 임금님의 수레가 친정하는 것을 따라가 한나라와 당나라 때의 옛 땅을 모두 수복하고 성읍의 사람과 문물이 번화한 것을 보았는데, 西涼府라고 했다. 하도 기뻐서 말 위에서 칠언고시를 짓는데 시가 아직 끝나기 전에 꿈을 깨었으므로 이에 이를 완성하다) 436 ⎮ 書憤(분개) 440 ⎮ 臨安春雨初霽(임안에 봄비 갓 개어) 442 ⎮ 秋夜將曉出籬門迎涼有感二首(其二)(가을 밤이 새려 할 때 울타리 문을 나서서 바람을 쐬며) 444 ⎮ 十一月四日風雨大作二首(其二)(동짓달 초나흗날 비바람이 크게 일어) 446 ⎮ 沈園二首(심원) 448 ⎮ 梅花絶句(매화) 450 ⎮ 示兒(아들들에게) 452
范成大 ⎮寒食郊行書事二首(其一)(한식날 교외에서) 454 ⎮ 繅絲行(고치를 켜는 농민의 노래) 456 ⎮ 催租行(세금 독촉의 노래) 458 ⎮ 後催租行(다시 쓰는 세금 독촉의 노래) 460 ⎮ 州橋(주교) 462 ⎮ 會同館(회동관) 464 ⎮ 夜坐有感(밤에 앉아 있노라니) 466 ⎮ 春日田園雜興十二絶(其二)(춘일전원잡흥) 468 ⎮ 晩春田園雜興十二絶(其三)(만춘전원잡흥) 470 ⎮ 夏日田園雜興十二絶(其七)(하일전원잡흥) 472 ⎮ 秋日田園雜興十二絶(其九)(추일전원잡흥) 474 ⎮ 冬日田園雜興十二絶(其十)(동일전원잡흥) 476
楊萬里 ⎮過百家渡四絶句(其二, 其四)(백가도를 지나며) 478 ⎮ 憫農(가엾은 농민들) 480 ⎮ 閒居初夏午睡起二絶句(한가히 기거하는 초여름에 낮잠 자고 일어나) 482 ⎮ 揷秧歌(모심기 노래) 484 ⎮ 桑茶坑道中八首(其二, 其七)(상다갱의 길 가운데서) 486 ⎮ 道傍店(길 옆 가게) 488 ⎮ 安樂坊牧童(안락방의 목동) 490 ⎮ 五月初二日苦熱(5월 2일 고통스러운 더위에) 492 ⎮ 醉吟(취하여 읊음) 494 ⎮ 湖天暮景(호수의 석양) 496 ⎮ 分宜逆旅逢同郡客子(분의의 여관에서 만난 同鄕의 나그네와 이별함에) 498
尤 ⎮淮民謠(淮南 지방의 민요) 500
朱熹 ⎮觀書有感二首(其一)(책을 보다가 느낌이 일어서) 506 ⎮ 水口行舟二首(其一)(배를 타고 수구로 가며) 508 ⎮ 鵝湖寺和陸子壽(아호사에서 육구령에게 화답하여) 510
蕭德藻 ⎮樵夫(나무꾼) 512 ⎮ 古梅二首(其一)(늙은 매화나무) 514 ⎮ 登岳陽樓(악양루에 올라) 516
姜夔 ⎮除夜自石湖歸苕溪十首(其一, 其三)(제야에 석호에서 초계로 돌아가며) 518 ⎮ 過垂虹(수홍교를 지나며) 520 ⎮ 平甫見招不欲往二首(其一)(평보가 부르는데 마음이 없네) 522 ⎮ 湖上寓居雜詠十四首(其一, 其九)(호숫가에 사는 재미) 524 ⎮ 昔遊詩十五首(其五)(그 옛날의 유랑 시절) 526
徐璣 ⎮新涼(초가을) 528 ⎮ 山居(산 속에 사노라니) 530
翁卷 ⎮鄕村四月(사월의 시골 마을) 532 ⎮ 野望(들판 풍경) 534
趙師秀 ⎮數日(며칠) 536 ⎮ 約客(손님을 기다리며) 538 ⎮ 薛氏瓜廬(薛師石의 瓜廬) 540
戴復古 ⎮庚子薦饑三首(其一)(경자년의 거듭된 굶주림) 542 ⎮ 夜宿田家(시골집에 묵으며) 544 ⎮ 淮村兵後(전란 뒤의 회하 마을) 546
華岳 ⎮驟雨(소나기) 548 ⎮ 田家十首(其四)(농가) 550
嚴羽 ⎮臨川逢鄭遐之之雲夢(임천에서 운몽으로 가는 정하지를 만나) 552 ⎮ 有感六首(其一)(유감) 554
劉克莊 ⎮戊辰卽事(무진년의 즉흥시) 556 ⎮ 落梅(떨어진 매화) 558 ⎮ 北來人二首(其一)(북쪽에서 온 사람) 560 ⎮ 冶城(야성) 562 ⎮ 築城行(성 쌓기 노래) 564 ⎮ 軍中樂(즐거운 군대 생활) 566 ⎮ 苦寒行(춥고 힘든 군대 생활) 568
方岳 ⎮春思(봄 생각) 570 ⎮ 農謠五首(其四, 其五)(농촌가) 572 ⎮ 三虎行(세 호랑이 노래) 574
葉紹翁 ⎮遊園不値(화원에 갔으나 주인을 만나지 못하다) 578 ⎮ 田家三詠(농촌가) 580
樂雷發 ⎮秋日行村路(가을날 시골길을 가노라니) 584 ⎮ 逃戶(도망자) 586
謝枋得 ⎮武夷山中(무이산에서) 588 ⎮ 蠶婦吟(누에 치는 아낙의 노래) 590
蕭立之 ⎮送人之常德(상덕으로 가는 이에게) 592 ⎮ 偶成(단비) 594
周密 ⎮夜歸(밤중의 귀향길) 596 ⎮ 西塍廢圃(서마승의 황폐한 채소밭) 598
文天祥 ⎮揚子江(양자강) 600 ⎮ 過零丁洋(영정양을 지나며) 602 ⎮ 南安軍(남안군) 604 ⎮ 金陵驛二首(其一)(금릉역) 606 ⎮ 眞州驛(진주역) 608 ⎮ 正氣歌(정기가) 610 ⎮ 除夜(제야) 618
汪元量 ⎮醉歌十首(其五, 其九)(취하여 부르는 노래) 620 ⎮ 湖州歌九十八首(其五, 其三十八)(호주의 노래) 622
林景熙 ⎮山窓新糊有故朝封事稿閱之有感(산촌 집의 창문에 새로 바른 종이에 옛날 조정의 비밀 상소문 원고가 있어서 그것을 읽고 느낀 바를 쓴다) 624 ⎮ 溪亭(개울가의 정자에서) 626

宋詩에 대하여 ⎮629
作家소개 ⎮650
영문초록 ⎮679
시인 찾아보기 ⎮681
작품 찾아보기 ⎮683

기타안내

교환/반품/품절안내
배송안내 - 주문결재일로부터 3일 이내에 배송됩니다.
- 기타 도서, 산간지방은 다소 늦어질 수 있습니다.
반품/교환 - 마이페이지 >주문조회 에서 반품 / 교환 신청을 하시거나 고객센터 1:1 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반품/교환 불가 사유 -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상품 품절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
-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REVIEW
도서 구입문의

02-889-4424

평일: 오전 09:00 ~ 오후 06:00
점심: 오후 12:00 ~ 오후 01:00
무통장 입금정보

079-01-342071

농협
예금주: 서울대출판문화원